datetime 특성의 값을 지정해 보다 적절한 검색 결과나, 알림 같은 특정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 가능
주로 일반 텍스트로 보이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의미있는 날짜, 시간 정보임을 HTML을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된다.
datetime 속성
해당 속성을 통해 날짜와 시간을 기계가 쉽게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알려준다.
형식은 다음과 같다.
YYYY-MM-DDThh:mm:ssTZD 형식 같은 경우 ISO 8601 date format에서 변형되었다.
TZD 같은 경우는 UTC(협정 세계시)에서의 오프셋으로 Z는 offset이 없음을 의미하고 +01:00 은 UTC에서 1시간 후의 타임존을 의미한다.
PTDHMS 같은 경우는 특정 기간을 뜻하는 것이다. 예를 들면 P2D는 2일의 동안의 기간을 의미한다.
사용 예
Dates:
<time datetime="1914"> <!-- the year 1914 -->
<time datetime="1914-12"> <!-- December 1914 -->
<time datetime="1914-12-20"> <!-- 20 December 1914 -->
<time datetime="12-20"> <!-- 20 December any year -->
<time datetime="1914-W15"> <!-- week 15 of year 1914 -->
Date and Times:
<time datetime="1914-12-20T08:00"> <!-- 20 December 1914 at 8am -->
<time datetime="1914-12-20 08:00"> <!-- 20 December 1914 at 8am -->
<time datetime="1914-12-20 08:30:45"> <!-- with minutes and seconds -->
<time datetime="1914-12-20 08:30:45.687"> <!-- with minutes, seconds, and milliseconds -->
Times:
<time datetime="08:00"> <!-- 8am -->
<time datetime="08:00-03:00"> <!-- 8am in Rio de Janeiro (UTC-3 hours) -->
<time datetime="08:00+03:00"> <!-- 8am in Madagascar (UTC+3 hours) -->
Durations:
<time datetime="P2D"> <!-- a duration of 2 days -->
<time datetime="PT15H10M"> <!-- a duration of 15 hours and 10 minutes --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