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UI를 계층적으로 쪼개라
- Single Responsibiliry Principle. 하나의 컴포넌트는 하나의 역할만 하도록 분리
2. 정적인 페이지를 만들기
-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와 props를 이용하여 데이터 모델을 렌더하는 정적인 페이지를 만들기
- 상호작용하는 페이지가 아닌 이상 state를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음
- 작은 프로젝트는 상위 컴포넌트부터 하위 컴포넌트로, 큰 프로젝트는 하위 컴포넌트에서 상위 컴포넌트 순서로
3. UI의 state를 최소로 하기
- 부모 컴포넌트로 부터 props를 받아서 만들 수 있는지
- 상태가 계속해서 변하는지
- 다른 상태에서 계산할 수 있는지
4. state가 있어야할 곳을 정하기
- 대부분 부모 컴포넌트에서 state를 가지고 있음
5. 역방향 데이터 흐름 추가하기
- 자식 컴포넌트에서 부모 컴포넌트의 state를 수정해야할 때 부모 컴포넌트에서 state를 수정할 수 있는 함수를 자식 컴포넌트에 넘겨줌
- ex. 상태를 관리하는 컴포넌트 아래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컴포넌트가 존재할 경우
출처: https://reactjs.org/docs/thinking-in-react.html
Thinking in React – React
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
reactjs.org
'개발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SVG를 이용한 라인 그래프(Bar Chart) 만들기 (0) | 2021.03.07 |
|---|